Det Eviga Leendet “Reverence”

Det Eviga Leendet는 스웨덴어로 ‘eternal smile’ 정도의 뜻이라 하니 블랙메탈 밴드에게 어울리는 이름인가 하는 생각이 먼저 든다. 인터넷에 의하면 스웨덴 작가 Pär Lagerkvist의 1920년 작품명이라는데, 예전에 “바라바”를 좀 들춰보며 읽었던 것 같긴 하나 기억은 잘 나지 않는다.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에게 이런 홀대라니 싶지만 내가 이런 식으로 넘어간 작가들이 뭐 한둘인가… 하고 일단 넘어간다. 어차피 앨범을 선택한 이유는 밴드명이 아니라 저 멋지구리…한 커버와 Mare Cognitum의 보컬이 참여했다는 사실 때문이다. 2022년 올해의 블랙메탈 앨범! 식으로 이 앨범을 꼽았던 이들도 넷상에 많이 보인다는 것도 덧붙인다.

음악은 노르웨이풍이 묻어나지만 모던하다는 말을 쓰기에도 부족하지 않아 보인다. 날카로운 트레몰로 리프는 Blut aus Nord 식의 뒤틀림이 없지 않지만 어쨌든 장르의 전형에 가깝다면 때로는 클린 톤으로 뽑아낸 따뜻한 멜로디를 보여주면서도 빠른 템포를 유지하면서 보여주는 최면적인 분위기는 post-black의 모습에 다가간 것처럼 보인다. ‘Retch’ 같은 곡은 Solefald와 Panopticon의 스타일을 조합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앰비언트를 이용해 숨을 고르는 모습을 보여주는 ‘Visage’나 ‘Yield’도 전체적인 스타일에서는 그리 다르지 않다. Jacob Buczarski의 보컬도 강렬하긴 하지만 곡의 흐름에서 벗어나는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물론 이런 류의 스타일도 꼭 새로운 건 아니지만(Der Weg Einer Freiheit 같은 모범사례가 있는만큼), 어쨌든 밴드가 개성을 찾으려 많이 고민한 모습만은 역력해 보인다. 그만큼 즐길거리도 많은 앨범이고, 충분히 즐겁게 듣기도 했다. 평이 좋은 이유가 있더라.

[Mystickaos, 2022]

Temple of the Maggot “How to Perform a Human Sacrifice(The Blood Rites)”

몽고 블랙메탈 밴드… 라지만 울란바토르 출신이라니 유목민 생활과는 많이 거리가 있는 이들일 것이고, 이들도 정작 활동하는 필드는 영국이라고 하니 몽고 출신이라는 거에 과한 흥미를 가질 필요는 없다. 하긴 이 앨범이 나온 2010년에야 몽고 밴드라고 하면 우와! 했겠지만 장르는 다를지언정 The Hu가 어쨌든 몽고의 대표 메탈 밴드(물론 이들의 음악이 ‘메탈’이 맞기는 하냐에 대한 이견은 있긴 하다만)의 자리를 거머쥔 현재는 그런 흥미도 조금은 시들할 것이다. 사실 커버나 밴드명 등을 봐서는 무엇 하나 특별할 것도 없어 보이긴 한다.

이들의 들려주는 음악은 어쨌든 블랙메탈의 전형과는 조금은 차이가 있다. ‘Necklace of Teeth’의 인트로에서 어쨌든 느껴지는 포크풍이나, 묘하게 Annihilator의 기운(굳이 짚는다면 “King of the Kill)이 느껴지는 헤비메탈 리프가 등장하는 ‘Leftovers for the God’ 등도 그렇고, 앨범 전반적으로 거친 질감보다는 음 하나하나를 명확히 짚어내는 데 주력하는 모습도 저 구리구리한 커버에서 예상되는 것과는 확실히 다르다. 그 헤비메탈 리프에 약간의 일렉트로닉스를 섞어내는 ‘Impaling the Believer’에 이르면 2집 시절의 Aborym 순한맛인가 싶을 정도인데, 어쨌든 이런 다양한 모습들을 짜맞추는 모습만큼은 꽤 매끈하기 때문에 무난하게 듣기는 충분해 보인다. 이런 스타일의 연주와는 별로 안 어울릴 것 같은 포르노그라인드식 가사가 붙어 있는 게 좀 의외이긴 하다만… 하긴 Aborym 앨범 부클릿에도 생각해 보면 헐벗은 모습들이 아예 없는 건 아니었으니 그 정도는 어쨌든 용서를.

[Satans Millenium Prod., 2010]

Various “Abbey Road Reimagined : A Tribute to the Beatles”

Cleopatra의 야심작? 뭐 트리뷰트야 원래부터 많이 내는 레이블이고 Beatles 트리뷰트라면 신선할 것 하나 없는 흔해빠진 기획이지만 앨범에 참여한 라인업을 보면 생각보다 많이 의외다. 하긴 이 Reimagined 시리즈의 경우에는 Cleopatra가 꼭 트리뷰트에 끼워넣던 Electric Hellfire Club 등의 이름을 찾아볼 수 없긴 했는데…. 다들 물론 전성기 한참 지난 이름들이긴 하다만 Cleopatra가 어떻게 구워삶았을까 하는 이름들로 가득한 참여 뮤지션들을 보면 기대가 되는 건 어쩔 수 없다. 월마트에서도 이 앨범을 팔고 있는 걸 보면 아마도 대개는 나와 비슷한 생각들이었을 것이다. 그러고 보면 이 앨범이 이 정도로 아무 얘깃거리가 되지 못하는 것의 한 절반은 Cleopatra가 그동안 쌓아온 악업… 때문일 것이다. 각설하고.

앨범의 가장 잘 알려진 곡일 ‘Come Together’는 Snowy White와 Durga McBroom의 Pink Floyd 세션 조합으로 꽤 무난한 진행을 보여주고, Ron Thal의 ‘Here Comes the Sun’도 좀 더 헤비하고 묵직하게 곡을 풀어 나가는 모습이 흥미로운데, 참여 뮤지션부터 확 튀던 Steve Stevens와 Arthur Brown의 ‘I Want You(She’s so Heavy)’의 커버나, Graham Bonnet과 Rick Wakeman의 ‘You Never Give Your Money’는 내게는 아무래도 좀 많이 그렇다. 둘 다 보컬이 보컬인지라 원곡과 상관없이 자신의 스타일을 밀고 나가는데, 특히나 애드립이 좀 과해 보이는(과하다 못해 자신만의 멜로디를 찾아나서는) Bonnet의 보컬이 곡과 전혀 어울리지 않아 보인다. 말하자면 수록곡들의 편차가 좀 심해 보이는데, 하긴 꼭 Cleopatra여서가 아니라 나름 모험적인 시도를 선보이는 트리뷰트 앨범들이 이런 결과를 피해가기는 쉽지 않겠다. Beatles니까 오리지널이 워낙에 굳게 자리잡고 있는 탓도 있겠다.

그래도 Rebecca Pidgeon과 Patrick Moraz가 참여한 ‘Because’ 처럼 생각지 못한 접근을 보여주는 곡도 있다. 개인적으로 Rebecca를 꽤 위악적인 스타일이라고 생각하는 편인데, Patrick Moraz의 묵직한 연주에 짓눌리지 않고 가볍게 곡을 풀어내는 모습은 좀 많이 의외였다. 아마도 이런 곡들 때문에 트리뷰트 앨범을 찾아듣는 것일 것이다.

[Cleopatra, 2023]

Heavens Edge “Some other Place – Some other Time”

그런지가 발흥하던 시절 뒤늦게 빛 좀 보려다 빛은 커녕 차트의 뒤안길로 사라졌던 많은 밴드들 중 하나였던 이 필라델피아 밴드는… 위키피디아의 소개도 그렇고 글램 메탈 밴드라고 얘기하는 게 보통인 듯하나, 사실 이 밴드의 음악이 그렇게 글램스러웠는지는 지금 생각해도 잘 모르겠다. 그냥 AOR의 기운 머금은 미국식 멜로딕메탈이라고 하는 게 더 나아 보이는데, Dokken이나 White Lion이 그 시절 다른 밴드들과 함께 묶이긴 했지만 그렇게 슬리지한 스타일은 또 아니었던 것과도 비슷해 보인다. 그만큼 잘 치는 건 아니지만 Steve Parry(당연히 Journey의 그 분과는 전혀 상관이 없음)의 기타도 적당한 화려함으로 앨범을 받쳐주는 것만큼은 확실히 해낸다.

밴드의 가장 유명한 앨범은 당연히 데뷔작이고… 힘든 가운데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내놓았을(시기가 1998년인만큼) 이 앨범은 나쁘지는 않지만 어쨌든 데뷔작만큼은 아니라는 게 일반적인 평인 듯하다. 오프너인 ‘Rock Steady’ 정도를 빼면 나머지는 좀 딸리는데다 녹음도 좀 아니라는 얘기가 많은데, Neil Kernon이 손댄 ‘Rock Steady’가 어찌 생각하면 앨범의 다른 곡들에 비해서는… 좋게 얘기하면 적당히 묵직하지만 달리 보면 혼자 겉도는 감도 없지 않다. 물론 그렇다고 이게 데뷔작에 버금가는 앨범이라 말할 생각까진 없는데, ‘Some Other Place-Some Other Time’ 처럼 확실한 멜로디를 보여주는 곡도 있고, ‘Jacky’ 같은 곡은 좋은 시절의 Harem Scarem을 생각나게 하는 면도 있다. 좋다는 얘기다.

특이한 것은 이 장르의 앨범들이 일본반이 보너스트랙도 그렇고 가장 알차게 나오는 게 보통인데, 이 앨범은 확실히 성의없어 보이는 커버를 제외하면 Perris Records에서 나온 버전이 6곡이나 더 많이 들어있다는 점이다. 저 6곡 때문에 한 장 더 사는 건 좀 아니다 싶긴 한데 혹시 싸게 넘기실 분은 연락 주시면 깊은 감사 드린다.

[MTM Music, 1998]

Taranis “Postmortem Spheres”

Paragon Impure의 드러머로도 활동했다는 Hendrik Vanwynsberghe가 참여했던 블랙스래쉬 밴드..라고 해서 구해봤는데, 정작 내가 가진 Paragon Impure의 어느 앨범에서도 이 이름을 찾을 수가 없으니 듣기 전부터 기대감이 꽤나 떨어지지만 그래도 블랙스래쉬라면 나름대로 일가견이 있는 레이블이니 마음을 다잡아 본다. 나로서는 처음 접하지만 그래도 2008년까지 활동했다 15년만에 다시 내놓은 앨범이니 밴드로서도 나름 절치부심하고 준비했을 것이…라는 짐작도 한다.

음악은 그런 기대보다 훨씬 좋게 들린다. 기본적으로 Bathory와 초기 Samael의 그림자 강한 음악이지만 보컬이 Atilla를 연상시키는 구석이 있는지라 Mayhem을 좀 느릿하게 만든 듯한 인상도 준다. 그런가하면 생각보다 헤비메탈의 면모가 꽤 자주 나오는지라 그리스 블랙메탈 밴드들(특히 Necromantia)을 연상시키는 구석들도 있다. 특히나 ‘Haunting Mirrors’ 같은 곡은 이런 요소들이 한꺼번에 버무려져 등장하는데, 중간중간 등장하는 포크 바이브 덕분에 Master’s Hammer 같은 밴드가 생각나기도 한다. 어느 하나 새로운 것 없긴 하지만 꽤 판이한 스타일들을 모두 끌어올 수 있다는 점에서는 확실한 개성을 보여주는 셈이다.

달리는 스타일을 원하는 이들에게는 아쉽겠지만 나름의 강점만은 분명해 보이는 앨범이다.

[Iron Pegasus, 2023]